동물원을 탈출했다가 사살된 암사자 '사순이' <br /> <br />그런데 동물들의 탈출사고의 끝은 대부분 죽음이라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 <br /> <br />'사순이'가 죽기 사흘 전 대구 동물원에서 탈출했던 침팬지 가운데 한 마리도, 몇 년 전 대전 오월드에서 도망쳤던 퓨마도 구조 대신 죽음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동물 탈출 사고의 원칙이 있을까요? <br /> <br />환경부에 매뉴얼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'원래의 우리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'이 가장 좋은 해결책이라는 거죠. <br /> <br />다만 위험 정도, 주변 상황에 따라서 마취나 사살을 결정할 수 있다고 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동물이 탈출한 급박한 상황에서 이런 판단을 명확하게 할 만한 전문가가 매번 동행할 수 있는가, 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서 외부로 탈출한 동물은 사살하는 것이 어쩔 수 없는 일이라면, 사전에 탈출을 하지 않도록 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초점은 탈출을 막는 장벽을 더 높이는 것이 아니라 동물 사육환경을 더 낫게 개선하자는 건데요. <br /> <br />실제 사순이가 살던 사육장은 넓이 14㎡, 높이 2.5m로 상당히 비좁은 시멘트 바닥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곳에서 20년 가까이 갇혀 지냈던 거죠. <br /> <br />이와함께 야생동물이 민간에서 함부로 거래되는 것도 문제 가운데 하나입니다. <br /> <br />[이형주 /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대표 (KBS 최경영의 최강시사) : 민간에서 하이에나를 기른다든가, 하이에나도 인터넷 카페에서 자유롭게 판매가 되고 있고. 사향고양이라던가 박쥐라던가 라쿤이라던가 이런 동물들도 개인이 소유하고 있고.] <br /> <br />대안으로 제시되는 건 '생추어리'라는 동물 사육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넓은 공간, 자연상태와 비슷한 환경에서 "살아갈 수 있도록 하자는 겁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는 이런 방식을 이제 도입하려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는 전남 구례군과 충남 서천군에 야외 방사장, 사육장, 의료시설이 갖춰진 생추어리를 만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내년에 완공된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동물들이 좀 더 나은 환경에서 인간과 함께 살아갈 수 있게 되길 바라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은솔 (eunsol0428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81613225929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